긴급복지지원제도는 갑작스러운 생계곤란과 위기상황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분들이 있습니다. 이런 분들이 생계비를 지원받거나 의료비, 주거비, 복지서비스를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긴급복지지원제도를 지원한다고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지원금을 받으려면 여러 가지 기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.
그러나 기준에서 탈락했다고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건 아니며, 민간영역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다른 제도들이 있습니다. 긴급복지지원제도를 신청해보신 분도 있을 것이고, 아직까지 제도 자체를 모르는 분들도 계실 수 있습니다.
긴급 생계지원금
생계지원금은 1인 가구에 583,400원, 2인 가구는 978,000원, 3인 가구는 1,258,400원, 4인 가구는 1,536,300원, 5인 가구는 1,807,300원, 6인 가구는 2,072,1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583,400 | 978,000 | 1,258,400 | 1,536,300 | 1,807,300 | 2,072,000 |
그리고 하반기부터는 일반재산 기준도 인상되었습니다.
단위 : 만원 | 대도시 | 중소도시 | 농어촌 |
현행 | 2억 4,100 | 1억 5,200 | 1억 3,000 |
상향금액 | 6,900 | 4,200 | 3,500 |
개정 | 3억 1,000 | 1억 9,400 | 1억 6,500 |
그래서 더욱 많은 분들이 긴급복지지원제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더불어 금융재산 총액 또한 상향되었습니다. 상반기에는 내 통장에 9,329,000원 이상이 있다면 대상자에서 탈락되었는데, 하반기부터는 11,121,000원 상향되어서 상반기에 탈락되었던 분들은 하반기에 신청을 다시 하시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기준이 완화되었지만 그래도 탈락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때 대부분 포기하는 분들도 많이 있으시겠지만, 그러나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민간에서 지원해주는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활용하면 됩니다.
민간단체 긴급생계비 신청
민간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은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계실 겁니다. 그 이유는 대부분이 개인이 신청할 수 없도록 되어있기 때문입니다. 다시 말하면 주민센터나 사회복지기관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. 만약 여러분께서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긴급복지지원제도에 탈락하셨다면 주민센터에 있는 공무원에게 민간재단이나 민간단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담 보시는 게 좋습니다.
대표적인 민간단체는 '신한 위기가정 지원'과 월드비전에 '중앙 위기아동 지원사업', 초록우산, 우체국 공익재단에서 지원해주는 사업도 있습니다. 그리고 각 재단이나 단체에서는 기준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, 공무원과 잘 상담하셔서 본인의 현재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민간단체를 활용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
이랜드 인큐베이팅 민간 지원
이랜드 인큐베이팅 희망지원사업을 살펴보면 가족 구성원이 중한 질병이나 부상을 당한 경우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데, 긴급복지지원제도와 비슷합니다.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가출, 실직, 사고 및 사업부도 등을 당한 경우가 생겨 생계가 곤란한 경우와 가족의 소득 상실로 자녀 학업중단의 위기에 처한 경우, 화재나 재난 등으로 거주의 위험에 노출된 경우 등의 위기에 처했을 때 인큐베이팅 사업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구분 | 지원내용 | 제외항목 |
치료비 | - 일반치료비(수술비/입원비) | - 건강검진, 미용 성형, 정신과 치료, 희귀질환, 만성질환 치료비 제외 |
- 치과치료비 | - 교정 치료비 제외 | |
* 이미 납부 된 치료비, 미납된 부채성 치료비는 지원이 불가능합니다. * 수술 시에만 보장구를 지원해드립니다. (보장구만은 미지원) |
||
생계비 | - 생활비(식료품비, 교통비, 의복비 등) - 공과금(가스/수도/전기) - 자녀 공교육비 |
- 건강보험료, 부채 이자 및 원금 제외 -사교육비(과외, 학원비) 제외 |
* 생계급여 대상자의 경우 생계비 지원이 불가능합니다. | ||
주거비 | - 월세 - 임시주거비 - 주거환경 개선비 |
- 전세임대보증금, 전세임대료, 이자 제외 - 무허가주택 개보수, 이사비용 제외 |
* 주거급여 대상자의 경우 월세 지원이 불가능합니다. |
치료비는 최대 500만 원 까지 받을 수 있으며, 생계비는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생계비와 주거비를 통합해서 신청할 경우에는 최대 5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 모든 경우가 해당된다면 총 7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구분 | A | B | |
치료비 | 생계비 | 주거비 | |
개별신청의 경우 | 최대 500만원 | 최대 300만원 B항목 통합 신청 시 최대 500만원 |
|
중복신청(A+B) | A+B = 최대 700만원 |
이런 민간지원금은 개인이 직접 신청할 수는 없고, 치료비는 시, 군, 구청, 주민센터, 시 회복 지기 관, 종교기관, 학교, 병원 등에서 신청할 수 있고, 주거나 생계 교육비는 사례관리 전문기관에 국한됩니다.
신청 대상
공공, 민간 비영리 사례기관이 신청 가능하며, 모든 지원 신청은 인큐베이팅 인트라넷 intra.incubating.or.kr에 가입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.
신청대상 | ||
구분 | 치료비 | 주거/생계교육비 |
시, 군, 구청, 주민센터, 사회복지기관 종교기관, 학교, 병원 등 |
사례관리 전문기관에 국한 (시, 군, 구청, 주민센터, 사회복지 기관 등) |
필요한 분들이 국가에서 주는 지원금을 받지 못했다면, 이런 민간단체에 연결해 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월드비전 중앙 위기아동 지원사업
갑작스러운 위기상황인 실직, 이혼, 질병, 가정폭력, 재해, 가구 주 소득원의 사망. 가출 등의 상황에 놓여있는 아동이나 청소년이 위기를 극복하도록 지원하여 마음껏 꿈을 꾸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도록 도와주는 사업입니다.
지원대상 | - 24세 이하의 아동/청소년이 함께 생활하는 가정 - 중위소득 80%이하 가정 - 3개월 이내의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에 놓여있는 가정 - 지원 이후, 위기상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한 가정 |
|
지원항목 | 생계비 주거비 의료비 |
공과금, 관리비, 필수가전제품, 향후생계비 등 월세, 전월세 보증금, 주거환경 개선비 진단/검사비, 수술 및 입원치료비, 치과치료비, 심리치료비 |
신청시기 | 연중수시 | |
신청대상 | 사회복지유관기관, 아동청소년 관련기관, 공공기관, 병원, 하교 * 기관을 통해서만 신청 가능하며, 개인신청 불가 |
|
신청금액 | 최대 1,000만원 (2022년 기준) * 2021년까지 최대 500만원 |
|
신청방법 | 월드비전 위기아동지원사업 홈페이지 통해 신청 www.helpchild.or.kr |
신청금액은 1가구당 최소 50만 원부터 최대 천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생계비 | |
신청기준 | 제출필요서류 |
1. 공과금. 관리비 단전. 단수 및 퇴거 요청이 있는 경우, 미납액 독촉으로 아동양육 혹은 일상행활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등 |
* 월별 미납고지서 * 퇴거통지서 |
2. 건강보험료 미납으로 의료기관 이용에 제한이 있는 경우, 급여통장이 압류되어 생계가 불가능한 경우. 체납분이 아동 명의로 넘어와 아동 신용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등 |
* 건강보험료 미납고지서 |
3.필수가전제품(냉장고, 가스레인지, 밥솥, 세탁기에 한함) 이혼, 가정폭력, 시설퇴소 등의 사유로 자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필수가전제품이 필요한 경우 등 |
* 가전제품견적서(인터넷 최저가 견적 첨부 가능) 1) 가스레인지 :20만원 이하 2) 냉장고 : 60만원 이하 3) 밥솥 : 20만원 이하 4) 세탁기 : 60만원 이하 |
4. 행후 생계비 실직, 임신, 출산, 육아로 소득이 없는 경우, 질병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 및 부채등으로 생계비가 전혀 없는 경우 등 |
* 생계비 사용계획서(자료 및 서식 게시판에서 다운가능 * 생계급여 대상자는 신청불가 |
5. 이사비용 기급한 주거이전이 필요한 위기상황의 경우, 주거이전에 따라 이사비가 없어 주거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등 (최대 60만원 지원) |
* 이사비용견적서 * 임대차계약서 |
신한 희망사회 프로젝트
어려운 분들에게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지원내용은 비슷합니다. 생계주거비, 교육양육비, 의료비, 재해. 재난 구호비를 지원해 줍니다. 1가구당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여러 가지 항목을 중복 신청한 경우에는 최대 1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, 신한 희망사회 프로젝트는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인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이 외에도 여러 민간단체가 있습니다. 제가 준비한 곳은 여기까지이지만, 인터넷에서 검색하시면 많은 민간단체나 재단이 나오니 다른 곳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오늘 내용은 긴급복지지원제도에 신청하셨다가 탈락하신 분들이 더 이상 신청할 곳이 없다 생각해서 포기하지 마시고, 민간단체나 민간재단에서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다고 생각하시어 주민센터를 통해 상담받아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.
지금까지, 긴급생계비 지원금 민간단체에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댓글